Blog

스토리

X다리(외반슬) 체형에 대해 알아보자

#바디닷피트니스#자세#질병#예방#개선

2025-03-24

X다리(외반슬) 체형에 대해 알아보자

X다리(외반슬) 체형에 대해 알아보자

외반슬(Genu valgum, X다리)

1. 외반슬이란?

외반슬이란 차렷 자세로 바로 섰을 때 무릎이 안으로 모이고 발목이 바깥쪽으로 벌어져 무릎 밑이 서로 닿지 않는 X자 형태의 다리 모양을 의미합니다.
정상 다리 체형
정상 다리 체형
외반슬(X다리 체형)
외반슬(X다리 체형)
 
원인은 무엇일까?(1)
  • 유전으로 인한 선천적 골 변형(7세 이후에도 지속)
  • 3세 이하 소아에게 나타나는 생리적 변형 → 7세부터 자연스럽게 돌아옴(95%이상)
  • 사고와 같은 외상 및 연골 손상
  • 잘못된 자세로 인한 체형 변형
 

2. 체형측정에서 파악할 수 있는 외반슬 체형

바디닷 피트니스 정면 자세 촬영 사진
바디닷 피트니스 정면 자세 촬영 사진
 
외반슬 체형은 정면에서 바로 선 자세를 보면 유추할 수 있습니다!
골반의 ASIS부터 무릎 뼈까지 가상의 선을 그었을 때 일정 각도보다 더 안쪽으로 들어가있을 경우, 혹은 무릎이 붙어있는데 발목은 벌어져 있는 경우 등으로 파악이 가능한데요!
평균적으로 대퇴-경골 각이 180-186도, Q angle(대퇴사두각, 슬개되태골각)은 13도가 정상범위입니다.(2)
이를 조금 더 디테일 하게 파악을 하기 위해서는 Q angle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합니다!

3. Q angle이란?

notion image
1.정의
골반 앞쪽 툭 튀어나온 뼈(ASIS)와 무릎 뼈까지 선(중앙견인선)을 하나 긋고, 경골조면에서 무릎 뼈까지 선(슬개건의 견인선)을 하나 더 그어 두 선의 교차에 의해 생기는 각을 Q angle 혹은 큐각이라고 합니다.(3)
2.남녀 차이
Q angle은 남녀 정상 범위가 다르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모르셨다면 꼭 확인하기!!)
골반의 크기가 그 원인입니다!
 
남성에 비해 여성의 골반이 크고 넓은데요!
평균적으로 남성의 엉덩뼈너비는 97.76±6.07mm, 여성은 102.00±7.69mm로 여성의 엉덩뼈너비가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고, 넙다리뼈머리사이 거리도 남성 141.94±9.15mm, 여성 150.39±13.58mm 로 나타났습니다.(4)
여성은 출산과 관련된 기능을 고려해 골반이 넓고 가벼우며 유연성이 높은 반면 남성의 골반은 너비가 좁고 밀도가 높아 근력이 집중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죠!(5)
남성 골반(좌), 여성 골반(우) 골반 모양 및 크기 차이
남성 골반(좌), 여성 골반(우) 골반 모양 및 크기 차이
사진으로 보면 차이가 확 보입니다!
 
따라서 골반의 크기가 클수록 대퇴골(다리 뼈)의 각도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여성의 Q angle 정상 범위는 자연스럽게 남성에 비해 클 수 밖에 없습니다! 그만큼 무릎에 스트레스가 쌓이기 쉬워 질환이 생길 확률이 더 크다는 뜻이기도 하죠ㅠㅠ
남(좌)녀(우) 큐앵글 차이
남(좌)녀(우) 큐앵글 차이
 
결론은!! 남성은 11.2 ± 3.0°, 여성은 15.8 ± 4.5°까지, 전체 평균은 13.5 ± 4.5°가 정상 범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3)

외반슬 체형의 뼈 구조 변화(6)

외반슬 체형으로 인한 근육의 변화를 확인하려면 먼저 뼈 구조의 변화를 먼저 봐야 합니다!
외반슬 체형 뼈 구조 변형
외반슬 체형 뼈 구조 변형
 
외반슬 체형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대퇴골(다리뼈)이 안쪽으로 돌아가는 내회전이 일어나고 그 반대로 경골(정강이뼈)은 외회전이 일어납니다.
대퇴골 내회전 + 경골 외회전은 ACL(전방십자인대)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손상을 일으킵니다.
또한 무릎이 안으로 몰리면서 무릎 바깥쪽에 가해지는 스트레스와 무릎 안쪽 인대의 늘어나는 정도가 점차 증가 됩니다.
이는 ACL(전방십자인대) 파열 혹은 연골 손상, 관절염 등 다양한 무릎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심지어 발의 아치가 무너지는 평발까지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외반슬 체형의 근육 길이 변화

그렇다면 근육은 어떻게 변할까요?!
notion image
대표적으로 근육의 길이가 짧아져 긴장도가 높아지는 근육에는 내전근, 외측광근, 대퇴근막장근 등 고관절을 내전 시켜주는 근육들과 무릎 바깥쪽에서 오는 압력으로 인해 무릎이 안으로 모이지 않게 유지 시켜주는 외측부 근육들이 있습니다!
notion image
반대로 근육의 길이가 늘어나 약화되는 근육에는 대표적으로 대둔근, 중둔근 등 고관절을 외전 시켜주는 근육들과 외부 압력으로 인해 늘어나는 내측부 근육들이 이 있습니다!

스트레칭 & 근력운동

이러한 근육들을 적절한 스트레칭과 운동으로 근육의 제 길이와 기능을 찾게 해준다면 자연스레 체형도 좋아지겠죠?!
 
  • 스트레칭 & 폼롤러
1. 바렐 내전근 스트레칭
1. 바렐 내전근 스트레칭
 
2. 캐딜락 퍼지 내전근 스트레칭
2. 캐딜락 퍼지 내전근 스트레칭
 
3. 내전근 폼롤러
3. 내전근 폼롤러
 
Video preview
대퇴근막장근 스트레칭 영상 참고
 
위 세 사진은 내전근을 이완 할 수 있는 스트레칭 밑 폼롤러 방법입니다! 서서 하는 스트레칭이 힘들다면 폼롤러를 이용해주시고 바렐에서 하는 스트레칭이 쉽다면 퍼지를 이용한 강도 높은 스트레칭도 해보세요!
유튜브 영상은 외측광근과 대퇴근막장근을 늘려줄 수 있는 스트레칭 방법인데요! 꼭 보고 따라해보시면 엄청 시원할 거예요!
 
  • 근력 운동
    • notion image
근력 운동으로는 중둔근과 대둔근의 기능을 살려줄 수 있는 아이들로 구성 해보았습니다!
 
  1. 힙 브릿지는 대표적인 대둔근 맨몸 운동이며 다리 위치에 따라 햄스트링을 더 타겟(발이 엉덩이로부터 멀어질수록) 할 수도 있고, 둔부를 더 타겟(발이 엉덩이와 가까워질수록) 할 수 도 있죠! 포인트는 양 팔로 지면을 진득하게 지지 해주는 것이 필수입니다! 허리가 다치지 않으려면 복부 힘은 기본이겠죠?!
  1. 힙 브릿지 동작에 밴드를 추가해준다면 중둔근까지 같이 활성화 시킬 수 있어서 1석 2조입니다! 꼭 한번 해보시길 바래요!
  1. 마지막 싱글레그 데드리프트 동작은 제가 정말 많이 사용하는 동작인데요! 한 다리로 서서 하는 운동들은 고관절의 균형만 잘 맞춰준다면 중둔근의 활성화가 강하게 일어난다는 것을 알고계셨나요?! 추가적으로 힙 힌지 패턴이 적용되면서 외반슬 체형으로 인해 약화되어있는 하체 후면부 근육을 강화 시켜줄 수 있는 너무 좋은 운동입니다! 강추강추!!!
 

마무리

오늘은 외반슬이란 무엇이고 왜 이런 체형 변형이 생기는 것이며, 어떤 스트레칭과 운동을 하면 좋은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운동 및 스트레칭은 무조건적으로 따라 해보는 것도 좋지만 다양한 응용동작들을 추가해서 구성하는 것도 너무 좋은 방법입니다! 항상 같은 효과이지만 다양한 포지션과 강도로 운동해야 지루하지 않고 지속 가능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으면 어느새 내 체형도 건강도 좋아질 거예요!
그럼 다음 주제인 내반슬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참고문헌

(1) Gregory R. White, MD, and Gregory A. Mencio, MD, “Genu Valgum in Children:Diagnostic and Therapeutic Alternativ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Volume 3(5), pp.275-282, 1995
(2) 문성기, “내반슬, 외반슬의 부정렬이 하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물리치료학회지 , 제6권 2호, pp. 33-37, 2000
(3) Melissa G. Horton, Terry L. Hall, ”Quadriceps Femoris Muscle Angle: Normal Values and Relationships with Gender and Selected Skeletal Measures”, Physical Therapy, Volume 69(12), pp.897-901, 1989
(4) 강영한, 김선칠, “ 성별과 나이에 따른 골반 형태 변화와 골반 변위 -방사선영상을 이용한 골반 계측”,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대구보건대학 방사선과, Volume 34(2), pp.91-96, 2011
(5) BARBARA FISCHER1 AND PHILIPP MITTEROECKER, “Allometry and Sexual Dimorphism in the Human Pelvis”, WILEY PERIODICALS, INC., THE ANATOMICAL RECORD 300, pp.698-705, 2017
(6) Yong-Seon Le, “The Effect of Genu Valgum on the Body Mass Index, Moment of Lower Limb Joints, Ground Reaction Force”,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 Volume 25(3), pp.257-263, 2015

park

관련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