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스토리

필라테스의 정의

#바디닷피트니스#건강레터#매트#기구#필라테스

2025-11-03

필라테스의 정의
필라테스의 정의

필라테스의 정의

필라테스 현황

다양한 연령층의 회원들이 애용하는 소도구
다양한 연령층의 회원들이 애용하는 소도구
 
우리나라에서 필라테스는 2010년대 초반 유명 연예인들의 “필라테스로 몸매 관리를 한다” 라는 언급과 특히 SNS상에서 “필라테스 복장 + 새로운 기구들 + 미용목적”으로 유행을 타기 시작하였습니다.
초반에는 남성의 비율이 훨씬 높은 헬스장과 반대로 여성 중심의 운동 문화가 발달하여, 프라이빗 하고 눈치보지 않을 수 있는 운동으로 점차 자리매김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로만 지속되었다면 필라테스가 아직도 살아있을 이유가 없겠죠??
오늘은 최근에 이 운동에 대한 남성 및 고령층(시니어)의 참여율도 많이 높아지고, 초기 미용 목적에서 현재는 재활 목적의 비중이 훨씬 높아지고 있는 필라테스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필라테스의 정의

체어를 이용한 스완 동작
체어를 이용한 스완 동작
조셉 필라테스는 이 운동을 “정신이 몸을 통제하고, 몸이 올바르게 움직이는 법을 배우는 것”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현대 필라테스의 가장 큰 공신력을 가진 협회(PMA)에서는 필라테스를 “신체 정렬, 호흡, 집중, 코어 안정성을 통해 전신의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운동법”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를 종합해 보았을 때 필라테스는 호흡과 정신의 집중을 통해 몸의 정렬과 움직임을 조절함으로써, 신체의 균형·안정성·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전신 조절 운동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필라테스의 역사

A man and his machines: Pilates with a client in his 8th Avenue studio in 1961. I.C. Rapoport/Getty Images
A man and his machines: Pilates with a client in his 8th Avenue studio in 1961. I.C. Rapoport/Getty Images
필라테스라는 이름은 조셉 필라테스(Joseph Hubertus Pilaes, 1883.12.09)라는 창시자의 “성(姓)”에서 유례되었습니다.
그는 어린 시절 병약한 몸상태를 강화하기 위해 요가, 체조, 복싱 등을 연구하며 ‘컨트롤로지(Contrology)’ 라는 운동 방법을 만들어냈습니다.
제 1차 세계대전 중 포로 수용소에서 전염병 방지 및 재활을 위한 좁은 공간에서 침대 와 스프링 등을 이용한 운동 방법을 고안해 냈고, 이는 오늘날 리포머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전쟁 후 1926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1929년 뉴욕에 첫 스튜디오를 열면서 몸과 마음의 조절을 통한 건강한 움직임 회복(컨트롤로지)을 바탕으로 무용수 및 예술가들에게 큰 인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1967년 조셉 필라테스가 사망한 후로 아내인 클라라와 그의 제자들이 스튜디오를 물려받고, 여전히 무용, 재활계 내부에서 발전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 이후 1980년대부터 제자들의 교육 방식이 적립되고 점차 미국과 유럽 전역에 퍼지며 유명인사들과 피트니스 업계가 주목하면서 대중화에 성공하게 됩니다.

필라테스의 6대 원리 및 13가지 목표

필라테스 원리를 적용한 티칭(1:1 레슨)
필라테스 원리를 적용한 티칭(1:1 레슨)
필라테스는 “호흡(Breath)”, “집중(Concentraion)”, ”조절(Control)”, “중심화(Centering)”, “흐름(Flowing motion)”, “정확성(Precision)”을 강조하며 육체와 정신의 통합적인 건강(Whole body health)을 목표로 진행됩니다.
가장 큰 목표인 육체 + 정신의 통합적 건강(Whole body healh) 내에 세부적인 목표로는 “협응력”, “근력”, “가동성”, “효율적인 움직임”, “움직임의 흐름”, “올바른 자세 및 정신 회복”, “자기 인식”, “자신감”, “동물적 움직임 회복”, “심신 정신의 통합” , “웰빙 감각” , “삶의 질 향상” 과 같은 13가지 세부 목표가 있습니다.

필라테스의 효과

조셉 필라테스가 강조하는 필라테스라는 운동은 불필요한 긴장을 줄이고, 약한 부분을 강화해 전체적인 신체 균형을 회복하는 운동입니다.
몸을 움직이는데 있어 의식적인 통제(Contrology)를 통해 집중력과 자기 인식을 높이고, 강요된 운동이 아닌 부드럽고 효율적인 움직임을 통해 일상에서의 자연스러운 회복이 가장 큰 기대효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필라테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조셉 필라테스의 명언
조셉 필라테스의 명언
마지막으로 조셉 필라테스의 명언으로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10회 레슨 후 스스로 변화를 느낄 것이고, 20회 레슨 후 타인이 그 변화를 느낄 것이며, 30회 레슨 후에는 완전히 달라진 몸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

park

관련된 이야기